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rmal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Difunctional Epoxy/PMMA Blends
  • Soo-Jin Park, Ki-Seok Kim, Jae-Rock Lee, Byung-Gak Min, Yeung-Keun Kim
  • 이관능성 에폭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랜드의 열적 및 기계적 계면 특성
  • 박수진(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김기석(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이재락(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민병각(충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김영근((주)강남전공)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관능성 에폭시(DGEBR)와 polymethylmethacrylate(PMMA)를 블랜딩하여 열적 특성과 기계적 계면특성을 측정하였다. 열적 특성은 DSC, DMA, 그리고 TGA를 이용하였으며, 블랜드의 기계적 계면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contact angle로 표면자유에너지를 조사하였고, 파괴인성은 Kic로 측정하고 Kic 실험 후 파괴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경화 온도와 유리전이 온도는 PMMA의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블랜드의 표면자유에너지는 PMMA의 저함량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비극성 요소의 증가와 극성 요소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블랜드의 파괴인성 측정 결과 5 phr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DGEBA/PMMA 간의 상용성 또는 거대분자 사슬에서 물리적 결합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관능성 에폭시(DGEBR)와 polymethylmethacrylate(PMMA)를 블랜딩하여 열적 특성과 기계적 계면특성을 측정하였다. 열적 특성은 DSC, DMA, 그리고 TGA를 이용하였으며, 블랜드의 기계적 계면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contact angle로 표면자유에너지를 조사하였고, 파괴인성은 Kic로 측정하고 Kic 실험 후 파괴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경화 온도와 유리전이 온도는 PMMA의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블랜드의 표면자유에너지는 PMMA의 저함량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비극성 요소의 증가와 극성 요소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블랜드의 파괴인성 측정 결과 5 phr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DGEBA/PMMA 간의 상용성 또는 거대분자 사슬에서 물리적 결합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thermal properties, mechanical interfacial behaviors, physical interaction

Keywords: 열적특성, 기계적 계면거동, 물리적 결합

This Article

  • 2004; 17(1): 10-17

    Published on Feb 28, 2004

Correspondence to

  • E-mail: